본문 바로가기
▒ 해외여행 ▒

[튀르키예] 트래블로그 VS 트래블월렛 장단점 비교, 튀르키예 ATM 인출

by 담백한 여행자 2023. 11. 10.
반응형

항상 여행은 환전을 해서 다녔는데 이제 시대가 좋아져서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여행 준비 필수품인 트래블로그 또는 트래블월렛 카드만 있으면 (대부분의) 세계 어디를 가도 쉽게 그 나라 화폐를 인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튀르키예 여행에서 우리는 두 개 카드를 모두 사용했다. 남편은 이미 발급받은 트래블월렛 카드가 있었고, 나는 이번 여행 때문에 신청했는데 신청하고 받기까지 2주 정도 걸렸던 것 같다. 트래블로그 카드가 처음 나왔을 때는 신청자가 많아 한 달 정도 걸려서 받았다고 했는데 이제 발급 대기 속도도 점점 단축되는 것 같다.

 

해외에서 쓰는 용도기 때문에 국내 혜택 비교는 패스하고, 여행지에서 사용했던 후기만 적겠음!

내 트래블로그 카드

 

1) 사용 국가
트래블월렛과 트래블로그의 가장 큰 차이는 사용할 수 있는 화폐 개수의 차이다. 우리가 여행했던 8월 말 기준으로 트래블로그는 튀르키예 화폐가 안 됐었고, 트래블월렛은 사용 가능했다. 사용 가능한 국가 기준으로 트래블월렛 승!

트래블월렛 사용 가능 국가는 오늘 기준 총 70곳이다. 2023년 10월 신규로 피지, 모리셔스, 타히티, 네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사우디아라비아가 추가가 됐는데 신규 나라가 이 정도니 보통 여행 다니는 여행지는 다 가능하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다. 세계여행을 다녀온 나도 다녀온 국가가 40개 정도니 말이다.

>>트래블월렛 지원국가 보기

이에 반해 트래블로그는 현재 18개 나라에서 사용 가능하다. 지금은 튀르키예도 사용 가능하게 됐다. 트래블로그를 사용할 수 없는 나라에서는 달러로 환전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달러에서 다시 현지 화폐 기준으로 환전해서 빠져나간다. 그래서 두 번 환전이 되긴 하지만 못 사용하는 곳은 없다는 게 결론!
>> 트래블로그 지원국가 보기

2) 수수료

수수료는 둘 다 원화에서 환전할 때는 100% 무료였던 것 같다. 근데 이것도 나라마다 무료 적용 기간이 다른 것 같으니 확인이 필요할 듯. 환전 수수료 외에도 해외에서 신용카드를 쓰면 가맹점 수수료가 나가는데 두 카드 모두 가맹점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신용카드보다 훨씬 이득이라고 볼 수 있다.

 

3) ATM인출

20대, 30대 때 여행할 때는 계속 검색해서 수수료 저렴한 곳을 찾아 발품을 팔아가며 이동, 이동하면서 인출을 했었다. 하지만 여행력이 오래 쌓인 지금은 시간이 돈에 비례하는 걸 알기 때문에 수수료가 얼마가 됐던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인출을 한다. 그래봤자 몇 백 원, 몇 천 원 차이고 그 시간에 내 다리와 시간을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제 해외 인출 수수료는 크게 신경을 안 쓰고 다닌다. 그래서 미안하지만 이 정보는 굳이 찾아서 넣지 않는 걸로! (하려고 했는데 한 곳만 넣는다면 트래블월렛은 미니스톱, 트래블로그는 세븐일레븐이 무료라고) 이 글을 읽는 여행자들도 싼 인출기를 찾는 대신 그 시간에 더 많은 걸 보고, 더 여유롭게 여행의 휴식을 즐기면 좋겠다.

 

 

> 튀르키예에서 트래블로그 & 트래블월렛 사용하기 <

원래는 튀르키예에서 사용기를 적으려고 했기 때문에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자면 두 개 카드 다 사용성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었지만 트래블로그 앱은 정말 최악이었다. 이 카드는 해외여행에서 쓰라고 만든 카드인데 충전 메뉴가 홈 화면이 아닌 어디 저 안쪽에 들어가 있어서 찾기도 힘들고, 앱도 너무너무 느려서 급하게 충전이 필요할 때는 무조건 남편의 트래블월렛을 사용했다. 이 부분이 두 카드의 가장 큰 차이가 아닐까.

물론 여행 기간은 짧고, 한국에서 일상을 보내는 시간이 많아 그 사이 고객을 놓치지 않기 위해 MAU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출석체크니 행운상자니 이것저것 넣어 뒀는데, 서비스 기획자로서 느끼기에 가장 필요한 건 "충전 바로 가기"기능이 아닌가 싶다.

 

하나 트래블로그 앱

 

 
 

튀르키예 카파도키아 ATM은 괴레메마을 버스터미널 앞에 다 모여 있다. 터미널에 있다는 얘기만 읽고 터미널 주변만 뱅뱅 돌았는데, 터미널에서 큰길 쪽으로 한 블록을 더 나가야 ATM 라인이 있다. 여러 은행이 있는데 카파도키아에서도 이스탄불에서도 비교하기 귀찮아서 그냥 사람 없는 곳에서 인출했는데 일반 은행 수수료는 꽤 비쌌다. 금액에 따라 다른데 6-8% 정도 했던 것 같다. 우리는 보통 10만 원 단위로 인출했는데 5천 원 정도의 수수료가 발생한 듯. 인출 금액이 높을수록 꽤 비싸짐-

 

카파도키아 괴레메 버스정류장

 

그래서 여행블로거들이 추천하는 곳이 ptt다. 튀르키예 우체국이라는데 수수료가 가장 저렴하다고 한다. 근데 이스탄불 숙소 앞에 있던 ptt에서 인출하려고 하니 한 번도 된 적이 없었음 ㅠㅠ 저녁엔 기계에 돈이 없나 보다 하고 다음날 오전에 갔을 때도 여전히 출금이 되지 않았다.

 

01
(좌) 이스탄불 PTT (우) 카파도키아 괴레메 버스정류장

 

 
 

우리는 집에 있던 유로와 달러를 현금으로 챙겨 갔었는데 카파도키아 투어 예약할 때는 꽤 큰 비용이 나가기 때문에 튀르키예 리라보다는 환율에 따라 달러와 유로로 계산하는 게 훨씬 이득이다.

 
여행 가기 전 카드 비교할 때 이 유튜브를 참고했는데, 결국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충전하고 돈 많이 남아 있는 카드로 결제하고 그랬던 것 같다. 하나씩 따지면서 여행하기 너무 피곤-
 

 

결론은 여행할 때는 둘 다 있으면 좋고, 사용범위는 트래블월렛이 조금 더 넓지만 다시 환전하고 할 때는 트래블로그가 좀 더 좋다고 알고 있음. 예전에 비하면 정말 여행하기 너무 좋아졌다는 게 점점 느껴진다. 트래블월렛은 일본에서는 교통카드로도 사용 가능하다고 하니 내년 도쿄 여행 때는 남편 카드를 챙겨서 가봐야겠다.

 

내가 이 카드를 발급받을 때 가장 궁금했던 점은 '해당 화폐가 없는 나라에서도 사용이 가능한가?'였는데 정답은 YES! 위에 썼듯이 달러로 또는 유로로 먼저 충전하고 사용하면 가능하다고 한 번 더 정리하면서 이만 끝.

반응형